감산사 미륵보살과 아미타불상의 상징과 양식적 특징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조형실에 전시되어 있는 통일신라 미륵상(국보 제81호)과 감산사 아미타불상(국보 제82호)은 8세기 전반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광선 뒷면에 새겨진 글귀 미륵불에는 381자, 아미타불에는 392자가 새겨져 있는 대표적인 불상이다. 일연의 『삼국유사』 제3권 탑상 제4호 남월산조(南月山 jo)에도 일부 비문이 기록되어 있어 두 불상이 창건 당시부터 중요한 불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갖고 있다 광배 비문에 따르면 성덕왕 18년(719년) 2월 15일(부처 열반일) 신라 관료인 고 김지성 감산사가 일길찬(一吉 ()과 그의 어머니 관초리·불상을 위해 건립되었다고 한다. 김지성은 여러 관직을 거쳐 집사부에 오른 6계급 인물이다. 그는 성덕왕 4년(705)에 견당사로 당(黨)사에 참배하였고, 비문에 병장(尙舍)이라는 칭호를 하사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정치적 뜻을 이루지 못하고 67세의 나이로 조정에서 물러났다. 농촌으로 돌아온 그는 한편으로는 노자와 장자의 조용함에 감탄했는데, 719년 재산을 내놓아 정성을 다해 감산사를 지었고, 이듬해인 720년 6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미륵상에 새겨진 글의 끝부분에는 6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어머니 관초리의 유골이 동해의 헌지 해안에 뿌려졌다고 전해진다. 이를 통해 김지성이 어머니 관초리를 위해 미륵상을, 아버지 일길찬을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왕의 장수와 만복을 기원하는 청원으로 김지성의 친남매 개원 이찬, 전처와 재처, 서형(西 () 등 법조계의 지각 있는 존재들이 모두 함께 한다. 모두가 그들이 세상을 벗어나 부처의 영역으로 올라가길 기도했다. 그러한 내용은 흔히 [삼국유사]에도 기록되어 있다. 비문에 따르면 미륵불과 아미타불은 정원 조성 7년차인 719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미륵보살 비문에는 비문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아미타불 비문에는 김지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대사(大使)인 김치원(金-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