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감은사터 삼층석탑 출토 사리갖춤 의미

 한국의 산에는 크고 작은 사찰들이 곳곳에 자리 잡고 있어 산을 찾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사찰들을 둘러보게 된다. 부처가 모셔진 금관은 관광객들로 북적거리지만 금당 앞에 서 있는 탑은 보이지 않는다. 왜 사찰마다 3층 또는 5층의 탑을 정사각형으로 자른 채 지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탑처럼 부처가 모셔져 있는데 불상처럼 눈에 띄지 않아 사람들이 무심하게 지나갔다. 다행히 세월이 흘러 골든홀마저 사라진 폐허 터에 서 있는 탑을 찾는 사람은 많지 않다.


부처의 시신이 화장된 후, 부처의 유해는 사리스(四is)라고 불린다. '사리'라는 단어는 인도 산스크리트어로 'ararrara'를, 팔리어로 'sar thera'를 뜻하는 'sarrara'에서 유래했다. 팔리 문자에서는 죽은 사람의 몸인 '사라'와 화장 후 남은 진주나 가루 같은 재인 '다투'를 구분하기도 한다. 부처의 유물은 무덤의 일종인 탑에 모셔져 있다. 산스크리트어로 탑을 뜻하는 스투파와 팔리어로 사리를 모신 곳을 뜻한다. 부처의 유물이 있는 탑은 가장 중요한 숭배 대상이며, 대부분의 인도 사원은 탑을 중심에 두고 있다. 불교가 시작된 인도에서는 불상보다 탑이 먼저 등장했다. 부처의 유물을 숭배하는 사리교는 그만큼 역사가 깊다. 무심한 듯 절을 바라보던 탑 속에는 불교의 역사가 숨어 있었다.


기록에 따르면, 한국에 처음 들어온 사리는 삼국시대인 549년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 진흥왕 10년에 양씨로부터 중국으로 불교 유물이 보내졌고, 582년(진평왕 4)에 이 시기에 가져온 유물 1200점이 대구 동화사에 봉안되었다. 또한, [삼국유사]에는 "643년 자장대사가 당으로부터 100개의 버두골, 부처, 사리, 가사를 받았다. 제가 양복 하나를 가지고 와서 유물을 세 개로 나눠서 황룡사, 태화사, 가사와 함께 통도사 계단에 놓았습니다. 나머지는 현재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신라 수도 경주에서 감포로 가다 보면 푸른 동해가 눈앞에 열리면 왼쪽에 13m 높이의 거대한 3층 석탑 두 개가 서 있다. 가운사 터의 석탑은 신라 통일 이후 세워진 삼층석탑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운사는 삼국통일 직후인 682년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지은 절이다. 현재 탑 외에는 남아 있는 건물이 없지만 왕실에서 지은 사찰인 만큼 당대 최고의 기술로 만들어진 사찰임에 틀림없다.


1959년 10월 30일 가운사 터 발굴이 시작되었으며, 1945년 이후 처음으로 사찰 터를 발굴하였다. 이번 발굴은 발굴을 주도하고 보고서를 작성한 김재원 초대 국립박물관장이 미국 하버드 얀칭연구소의 연구보조금으로 이뤄졌다. 당시 상태가 열악했던 서쪽 삼층 석탑을 복원하기 위해 해체되었다. 12월 31일, 놀랍게도 3층 탑의 윗면에서 사찰 건립 당시 봉안된 사리 한 쌍이 발견되었다. 사리침을 놓는 공간인 사리공을 남북 방향으로 길게 파고, 그 다음에 사리맞이침이 남쪽에 놓였다. 발견 당시 사리 외함의 한쪽 면은 거의 파손된 상태였으며, 안에 있던 사리 역시 심하게 훼손된 상태였다. 국립경주박물관(위 사진 왼쪽)에 복원된 사리가 전시되어 있다. 한편, 1996년에 동쪽 삼층 석탑은 보수를 위해 해체되었으나, 서쪽 삼층 석탑과 같은 위치의 삼층 석탑 상부에서는 일치하는 사리가 발견되었다. 이 사리 한 쌍은 국립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작은 알갱이처럼 생긴 사리를 단순히 탑 안에 넣는 것이 아니라 먼저 사리병에 담아 금, 은, 구리 재료로 만든 용기에 담아 탑 안에 모신다. 이 다층 용기에 유물을 넣는 이유는 성경에 부처의 시신을 금관, 은관, 구리관, 철관 순으로 안치했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리 또한 부처의 장례 절차에 따라 다금속 용기에 담겨졌다.


두 탑에서 발견된 사리침은 나란히 나란히 있는 탑에 봉안되어 있으며, 형태와 구성도 매우 유사하다. 사리를 담은 수정 사리병과 사리를 닮은 사리기, 상자 모양의 사리통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탑에서 발견된 사리 세트를 설명하자면, 왼쪽의 정사각형 모양의 사리기는 오른쪽의 상자 모양의 사리 상자 안에 배치되어 겹쳐져 있다. 또한 사리기 중앙에 수정사리병을 배치한 후 복발 모양의 뚜껑에 안개와 부드러운 판을 덮어 보이지 않게 하였다.


금박을 입힌 청동탑에서 출토된 사리갖춤의 네 면에는 사리기를 보호하는 사천왕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부처의 세계를 지키는 임무를 맡은 사천왕이 각 방향을 지키고, 북천왕 타문왕이 탑을 손에 들고 방향을 지시한다. 서탑과 동탑의 외함은 형태와 크기는 비슷하지만, 사천왕의 생김새와 자세, 주변 구름무늬 장식, 모서리 무늬 등에서 차이가 있다. 갑옷을 입은 사천왕의 모습과 사천왕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섬세하게 표현한 조각 기법을 보면 당시의 금속공예가 매우 뛰어났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리기는 정사각형 모양으로 실제 건물과 같은 기단이 있고, 그 위에 난간이 둘러져 있다. 주변에는 사천왕상과 승려상이 둘러쳐져 있어 유물을 보호하고 있다. 방향을 따라 배치된 사천왕상은 창, 칼, 탑을 들고 있다. 반면에 서탑사리기의 네 귀퉁이에는 동발(東 (), 요고(odr), 가로적(橫 the, 피리), 피파( (琵)를 연주하는 천상의 모습이 장식되어 있다. 기둥 위에 놓인 휘장의 넝쿨무늬와 불꽃무늬가 매우 화려하다. 그러나 이 사리기의 형태는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상자형 사리기와는 다른 점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절 모양 또는 집 모양 사리기라고도 불린다. 돈황막고굴 148개 동굴의 니르바나경변 벽화에서 볼 수 있듯 가마가 석가모니의 관을 운반하는 모습을 닮아 안보형 사리기라고도 불린다.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 가운사 사리기는 통일신라 고유의 양식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 중국에서도 비슷한 스타일의 사리 매칭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운사 사리기의 형태는 매우 독특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다양한 논의가 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생기부 조회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법

노령연금 신청방법 수급 자격 조건 및 절차

빕스 생일쿠폰 혜택 사용방법 발급방법